커피와 카페에 관한

곧 한국에 오픈 예정인 해외 유명 디저트 카페 몇 곳을 소개합니다.

Mattybrew 2024. 1. 28. 06:52
반응형

Dessert

 

카페에서 시간을 보내고, 사람을 만나 대화를 하고, 개인적인 시간을 보내고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 카페라는 공간의 대해 많은 시간을 이용하고 있는데요.

 

카페를 가는 각자의 이유는 다르겠지만, 우리는 카페에 방문하여

커피 또는 다른 음료를 마시면서 같이 곁들여 먹을 수 있는 디저트를 주문하고는 합니다.

 

카페의 시장이 디저트의 유/무가 굉장히 중요해진 이 시점에서, 디저트는 많은 소비자를 끓어모일수 있는 또 다른 매개체가 되고 있는데요. 오늘은 '곧 한국에 새롭게 오픈 예정인' 해외 유명 디저트 카페를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반응형

 


 

 

 


Kith Treats / 키스 트리츠

Sadelle's at Kith / 새들스 앳 키스


Kith Treats

 

 

성수동에 또 다른 핫플이 생길 것 같습니다. 편집숍이자 브랜드인 '키스 Kith Treats'는 오는 상반기 뉴욕, 파리, 도쿄, 토론토에 이어 다섯 번째로 서울 성수동에 키스 플래그쉽 스토어를 론칭할 예정이다. '키스'에서 운영 중인 브런치 카페 '새들스 Sadelle's'와 아이스크림 카페 '트리츠 Treats'가 플래그쉽 형태로 오픈을 준비 중에 있다. 젤라또 질감의 아이스크림 맛, 그리고 시리얼과 토핑을 직접 골라 커스텀이 가능한 것으로 인기를 끌어모으고 있는 만큼 많은 사람들이 이곳에 방문하여 또 '붐'을 일으킬 것 같다.

 

 

 

 

 


Xurreria / 츄레리아 


 

 

Xurreria

 

스페인 여행을 가면 빠질 수 없는 간식거리 중 하나인'추로스' 작년부터 한국에서 시작된 추로스의 인기는 여전히 식지 않고 있다. 

그리고 다음으로 또 다른 스페인 대표 추로스 가게인 '츄레리아 Xurreria'가 한국에 오는 2월 연남동에 첫 해외 진출을 앞두고 있다.

 

바르셀로나 고딕지구에 위치하고 있는 츄레리아는 한국인들에게 추로스 맛집으로 소문이 이미 나있고 많은 유튜버들이 방문하여 후기를 올리는 만큼 국내에서도 명성을 높이고 있다. 이미 츄레리아는 연남 매장을 준비하면서 지난 5일부터 14일까지 더 현대 팝업스토어에서 팝업을 진행하며 많은 웨이팅을 불러 모았다.

 

갓 튀겨 바삭바삭한 추로스를 따뜻한 초콜릿 소스에 찍어 먹는 '츄로 콘 쇼콜라테'가 대표 메뉴인데, 카카오 함유량이 많아서 그렇게 달지 않다는 것이 특징이라고 한다. 현지 매장의 레시피를 그대로 사용하고 주요 재료인 초콜릿을 현지 직송으로 받는 만큼 스페인에서 맛보았던 추로스의 맛을 한국에 그대로 갖고 올 수 있을지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다. 추로스의 인기는 계속해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Heytea / 헤이티


Heytea

 

 

 

 

'HEYTEA IN SEOUL'

홍콩과 싱가포르등 중국 밀크티 대표 브랜드인 '헤이티 Heytea'도 역시 서울 압구정동 로데오거리에 매장 오픈을 앞두고 있다. 크림치즈 폼을 올린 티가 유명세를 타면서 전 세계적으로 이미지를 알린 헤이티는 작년 뉴욕의 매장에 오픈한 첫날 2500잔의 음료를 파는 등 대단한 인기를 끌어모으고 있다.

 

중국에 방문한 여행객들의 입맛을 사로잡은 헤이티, 그들의 대표 메뉴는 크림치즈 폼이 올라간 티 이외에도 코코넛 블라스트, 베리 그레이프 등 다양한 메뉴들이 있는데, 밀크티 역시도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대표 메뉴 중 한 가지다. 그중에서도 신선한 우유를 사용한 로스티드 브라운 보보 밀크라는 메뉴와 한국에서 한 차례 큰 붐을 일으켰던 브라운 슈가 보보 밀크티가 있다. 

 

헤이티는 이미 한국 공식 소셜 계정을 만들며 오픈을 빠르게 박차고 있는 만큼 많은 소비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https://www.instagram.com/heytea.kr

 

 

각 나라를 대표하는 다양한 디저트 카페들이 올해에도 여김 없이 한국 진출을 앞두고 있다.

소비자의 다양한 상품성을 고려한 아이템들이 한국에서 합리적인 가격에 판매를 진행할지가 관건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반응형